김희선 (18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희선은 평안남도 강서군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군인으로 복무했다.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조선총독부의 회유로 친일 행위를 했다. 3·1 운동 이후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에서 활동했지만, 1922년 변절하여 친일로 돌아섰다. 이후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며, 광복 후 월남하여 한국 전쟁 중 사망했다. 사후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으나, 친일 행적이 밝혀져 서훈이 취소되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포시 출신 - 노광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노광철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되었으며, 북미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을 수행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무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 남포시 출신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조선의 사회 운동가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조선의 사회 운동가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대한제국의 군인 - 김좌진
김좌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한국독립당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훈받았다. - 대한제국의 군인 - 권동진
권동진은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가담 후 천도교에 입교, 3·1 운동 민족대표, 신간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반탁운동을 전개했다.
김희선 (187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희선 |
출생지 | 조선 평안도 |
사망지 | 알 수 없음 |
군사 복무 | |
복무 국가 | 대한제국 |
복무 기간 | 1901년 ~ 1907년 |
최종 계급 | 알 수 없음 |
소속 부대 | 알 수 없음 |
지휘 | 알 수 없음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알 수 없음 |
서훈 내역 | 알 수 없음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임시정부 군무부 차장 |
2. 생애
평안남도 강서군 태생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하여 1899년 노백린 등과 함께 제11기로 졸업하였다. 1901년 4월 기병 참위로 임관하였으며, 이후 1907년에는 군부 기병과장이 되기도 하였다.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실시하자 항전을 주도했다. 대한제국의 군인들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대거 독립운동에 뛰어드는데, 그도 중국으로 망명을 꾀하다가 강제로 귀국당했다.[1] 이후 조선총독부의 회유로 1913년 평남 개천군 군수, 1915년 평남 안주군 군수에 임명되어 총독부 관리를 지냈다.
1919년 안주군수 재직시 3·1 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로 망명했다. 두 번째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셈이었다. 일본육사 출신으로 군사 전문가인 김희선을 임시정부는 군무부 차장에 임명하고 임시정부 육군무관학교 교장, 군무총장 대리 등으로 군사 부문에 중용했다.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도 활동했으나, 그의 망명이 미리 계획된 것이며 일종의 스파이로서 임시정부에 잠입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1]
1922년에 다시 변절하여 전향하였다. 이때 임시정부 측은 대단한 배신감을 느낀 듯 기관지인 《독립신문》을 통해 "돼지", "송장놈", "죽은 개" 등 원색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그를 비난했다. 이후 국내에 머물면서 1928년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기록에 따르면 이희간이 일본 육사 출신의 독립운동가인 류동렬과 김희선을 상대로 한 귀순 공작에 들어갔을 때 류동렬은 거부했고 김희선은 투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와 세 차례 면회한 기록도 있다. 광복 후 월남하여 서울에 머물다가 한국 전쟁 기간 중 사망했다.
2. 1. 대한제국 시기
평안남도 강서군 태생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하여 1899년 노백린 등과 함께 제11기로 졸업하였다. 1901년 4월 기병 참위로 임관하였으며, 이후 1907년에는 군부 기병과장이 되기도 하였다.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하자 항전을 주도했다. 대한제국의 군인들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대거 독립운동에 뛰어드는데, 그도 중국으로 망명을 꾀하다가 강제로 귀국당했다.[1]2. 2.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강서군 태생이다.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하여 1899년 노백린 등과 함께 제11기로 졸업하였다. 1901년 4월 기병 참위로 임관하였으며, 이후 1907년에는 군부 기병과장이 되기도 하였다.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실시하자 항전을 주도했다. 대한제국의 군인들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대거 독립운동에 뛰어드는데, 그도 중국으로 망명을 꾀하다가 강제로 귀국당했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회유로 1913년 평남 개천군 군수, 1915년 평남 안주군 군수에 임명되어 총독부 관리를 지냈다.[1]1919년 안주군수 재직시 3·1 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로 망명했다. 일본육사 출신으로 군사 전문가인 김희선을 임시정부는 군무부 차장에 임명하고 임시정부 육군무관학교 교장, 군무총장 대리 등으로 군사 부문에 중용했다.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도 활동했으나, 그의 망명이 미리 계획된 것이며 일종의 스파이로서 임시정부에 잠입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1]
1922년에 다시 변절하여 전향하였다. 이때 임시정부 측은 《독립신문》을 통해 "돼지", "송장놈", "죽은 개" 등 원색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그를 비난했다. 이후 국내에 머물면서 1928년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기록에 따르면 이희간이 일본 육사 출신의 독립운동가인 류동렬과 김희선을 상대로 한 귀순 공작에 들어갔을 때 류동렬은 거부했고 김희선은 투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와 세 차례 면회한 기록도 있다.[1]
2. 3. 광복 이후
1919년 안주군수 재직시 3·1 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로 망명했다. 일본육사 출신으로 군사 전문가인 김희선을 임시정부는 군무부 차장에 임명하고 임시정부 육군무관학교 교장, 군무총장 대리 등으로 군사 부문에 중용했다.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로도 활동했으나, 그의 망명이 미리 계획된 것이며 일종의 스파이로서 임시정부에 잠입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1]1922년에 다시 변절하여 전향하였다. 이때 임시정부 측은 기관지인 《독립신문》을 통해 "돼지", "송장놈", "죽은 개" 등 원색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그를 비난했다. 이후 국내에 머물면서 1928년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기록에 따르면 이희간이 일본 육사 출신의 독립운동가인 류동렬과 김희선을 상대로 한 귀순 공작에 들어갔을 때 류동렬은 거부했고 김희선은 투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와 세 차례 면회한 기록도 있다. 광복 후 월남하여 서울에 머물다가 한국 전쟁 기간 중 사망했다.
3. 사후
김희선의 친일 행적은 오랫동안 밝혀지지 않아 임시정부에서의 활동에 의거하여 독립유공자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1980년에는 건국훈장 국민장도 추서받았다.[3] 특히 1920년대 무장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일본군과의 전투 중 전사했다는 잘못된 자료를 근거로 손자까지 독립유공자 연금을 수령했다. 김희선의 손자가 연금 수령 기간 연장을 위해 조부의 사망 날짜를 의도적으로 조작했기 때문에 잘못된 기록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4]
1996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 5명의 공적이 허위이거나 친일 혐의가 있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때 서춘, 박연서, 장응진, 정광조와 함께 김희선의 이름이 포함되어 서훈이 취소되었다.[5][6]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페미니스트 소설가 김명순은 그의 형 김희경의 서녀였다.
4. 가족 관계
참조
[1]
뉴스
'"이런 놈은 죽은 개, 육시처참 할까 말까" - (특별기획-미리보는 친일인명사전 19) 두 차례나 변절한 김희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9-28
[2]
웹사이트
독립유공자가 된 친일파 - 서훈정책의 문제점과 그 명단을 중심으로-
http://hanil.finesug[...]
한일역사문제연구소
2007-09-28
[3]
웹사이트
엠파스 백과사전 - 김희선
http://100.empas.com[...]
[4]
뉴스
'"이런 놈은 죽은 개, 육시처참 할까 말까" - (특별기획-미리보는 친일인명사전 19) 두 차례나 변절한 김희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9-28
[5]
뉴스
(발굴) 주요 친일명단 120명 중 34명 해방후 훈·포장·표창 서훈 - 김성수는 2등급, 유관순은 3등급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8-31
[6]
뉴스
커버스토리 - 유공자, 훈ㆍ포장, 의전 집중탐구 - 영욕ㆍ반전… 논공행상도 시대 따라 다르다?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7-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